아침조회가 없어진 이유
24.04.30

4ab623ef1d7615925676f2ff100f2f2868cc03232782d8bbfce56577db1963a1f0f46afe772748f4e84b8b4516ed38e1658de3f6ae16abf110ba846a925dda12


 '구령대'는 알고 보면 일제강점기의 잔재이자 권위주의의 상징과도 같았다.


구령대는 지위가 높은 교사들이 학생들을 호령하기 위해 사용되던 공간이다.


구령대는 곧 권력이었다.


하지만 구령대가 일제 잔재이자 구시대적인 공간이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또한 높이가 1~4m 정도에 달해 낙상 등 학생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시설이라는 목소리도 높았다.



0030edcb1797db309e9d823c3ec299f857c50486e2fce304b504af2652d0b154decb96ffc2f5cba7e73065a5fe8ced157683a2acbb4a33d11316f1d8a9e87be5



지난 2016년 "일제 잔재인 구령대를 정비해 학생 휴게 공간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정비 사업을 추진했다.


이런 이유로 소위 '운동장 조회'는 없어지게 됐고,


최근에는 구령대를 연례행사 목적으로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fa1b63da2368d7c36ecca0a45d349401dbf8e531a5c07278c4ba2e110780b23389431f5c9eecd39528b84e97c752606e4c33408ae2f69887b4a09b903e3cf4e


조회의 메리트를 느끼지 못해 조회의 필요성이 없어졌거나


위의 문제점 등을 이유로 21세기 기준으로 폐지하는 학교가 늘어났으며,


현재는 거의 모든 학교가 이 제도를 폐지하였다.


[요약]

아침조회는 일제 잔재라서 사라짐

전체 인사는 군대식 제식이라 권위적이라고 안함

공유하기
광고보고 콘텐츠 계속 읽기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아직 콘텐츠가 없습니다.